수더분한 스토푼

728x90

목차

    출처 : 공군 모집 사이트

    공군 제145기 학사사관후보생 모집이

    성황리(?)에 끝이 났다.

     

    다시 말해서, 144기가 임관할 날이

    가까워졌다는 이야기다.

     

    즉, 내 전역일이 코 앞이라는 소리다.

     

    144기 신임 소위들이 내 자리를 채워주면

    나는 고대하던 사회로 돌아가게 된다.

    (=백수)

     

    장기화된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

    내 전역일도 조금은 조정되겠지만

     

    이제 두 달도 남지 않았다.

     

     

    3년 전 이맘때 즈음 나는

    진구 교육사 장교교육대대에서

    흙먼지를 뒤집어쓰며

    구르고, 또 구르고 있었다.

     

    아마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도

    12주간의 장교화 훈련이 궁금해서

    찾고 또 찾다가 여기까지 왔을 테다.

     

    나 역시 몇 안 되는

    공군 학사장교 커뮤니티와

    블로그, 티스토리 등을 

    전전긍긍하면서

   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

    구글링의 달인이 되었었으니깐.

     

    입대하고 보면,

    아니 임관을 하고 지나 보면

    12주 훈련 아무것도 아니다.

     

    하지만 훈련을 하기 전에는

    막연하기만 한 12주의 훈련이

    얼마나 두려운지

     

    입대 전 그 순간을 겪지 않은

    사람이라면 절대 공감하지 못할 것이다.

     


    공군 학사장교로 입대를 하고 나면

     

    훈련일지라는 걸 쓰게 된다.

     

    매일매일 훈련이 끝나면

    오늘 훈련의 내용,

    건강 상태,

    가족들에게 하고 싶은 말 등을

    이 훈련일지에 쓰게 된다.

     

    훈련을 받고 나면 완전히 녹초가 되는데

    그때 '훈련일지'를 쓰는 것 자체가

    또 하나의 '훈련'이 된다.

     

    처음 몇 주 동안은 

    거의 강제적으로 쓰게 된다.

     

    쓰지 않으면 야단을 맞게 되니깐.

     

    하지만 훈련 말미부터는

    이 훈련일지를 신경 써서 쓰는 사람이 거의 없다.

     

    나 같은 별종 빼고는..

     

    그리고 모든 일지를

    빽빽하게 썼을 정도로

    자세하게 썼기 때문에

     

    매일매일

    그때의 상황과 감정이 고스란히 담겨있다.

     

    아마 이 글을 읽는 사람들도

    훈련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

    조금은 없앨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.

     

    (막연함이 뚜렷한 두려움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.)

     

    안다고 해서 잘할 수 있는 훈련은 없다.

     

    화생방 가스 체험할 때

    '고통스럽지 않게 체험하는 법'은 없고,

     

    유격 훈련이나 행군 훈련할 때

    안 힘들게 하는 꿀팁! 따위는 없다.

     

    하지만 

    내 글을 보면서

    어떤 마음가짐으로 훈련을 임해야 할지

    어떻게 해야 조금이라도 좋은 자대를 갈 수 있을지

    조금의 꿀팁을 챙길 순 있을 거다.

     

    실제로 

    내 절친한 친구이자 까마득한 학사 장교 후배가

    내 훈련일지와 이론평가 학습노트를 빌리고

    수도권으로 배치받기도 했다.

     

    그 친구의 노력도 있었겠지만

    단언컨대

    내 컨설팅이 큰 도움이 되었다.

    (그 친구도 인정하는 부분)

     

    조만간 전역하면 민간인의 신분이 될 테지만

    내가 쓰는 글은 모두

    보안에 위배되지 않는 선에서 쓰기 때문에

    더 자세한 내용은 

    입대해서 본인이 직접 경험하는 것으로!

    이 글을 공유합시다

   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