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0/04/03 - [중국어 공부/중국어 기초] - 중국어 기초 ① [한어, 한자(간체자)]
2020/04/03 - [중국어 공부/중국어 기초] - 중국어 기초 ② [한자 쉽게 공부하는 법(육서)]
지난 시간, 한자 쉽게 외우는 법[육서] 편에 이어서
한 달만에 다시 돌아온 '중국어 기초'편이다.
아마 이번 편을 끝으로
한자 암기는 공부하는 여러분 몫이 될 것 같다.
지난 번에
한자는 한자대로,
언어는 언어대로
학습할 것을 권장한다고 글을 썼는데
이번 편이
한자 파트 마지막 내용이 될 것 같다.
앞으로 여러분은 한자 공부 시
한자 육서 원리에 입각한 '번체자' 학습과
이번 편[한자의 간화 원리]에 입각한
'간체자' 학습을 동시에 진행하면 되겠다.
조금이라도 쉽게 외울 수 있는 방법을
알려드렸으니, 앞으로 한자는
자습(自習)을 하면 되겠다.
각설하고,
먼저 복습 차원에서 '번체자'와 '간체자'에 대해
알아보도록 하자.
대한민국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들이라면
기본적인 한자 정도는 모두 알고 있다.
그래서 이 한자들과 별개로
새로이 간체자를 외우는 일이
불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, 개인적으로..
간체자가 되는 규칙 몇 가지만 알면
중국어 한자를 학습하는데 훨씬 수월할 것이며
상당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될 것이다.
아래는 '한자의 간화 원리' 대표적인 5가지이다.
실제로는 더 있겠지만...
이 정도만 알아도 충분할 것 같다.
휘갈겨 쓰기로 뭉뚱그려 표현했다.
휘갈겨 쓰기는 점, 선 등을
휘갈겨 씀으로써
획순을 줄이는 간화 방법이다.
이를 응용해서 저 한자가 포함되는 한자는
모두 이 방식으로 간화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.
예를 들어, 베풀 장(張)은 张 으로 간화할 수 있다.
다음은 일부분 생략이다.
한자에서 일부분만 남기고 생략하는 간화방법이다.
마찬가지 응용으로
넓힐 확(擴)은 扩 으로 간화할 수 있다.
다음은 일부분 부호화다.
마찬가지 응용으로
구부릴 구(傴)는 伛 로 간화 가능하다.
다음은 복잡한 글자 단순화다.
복잡한 형태를 띄고 있는 한자를
그 틀만 유지하고 단순화시키는 방법이다.
마지막으로
회의자(會意字) 새로 만들기다.
기존에 있던 한자 중 복잡한 한자에 대해
보다 간단한 형태의 한자를 모아서
새로 만들어 낸 한자다.
이제 간화 원리까지 터득했으니
앞으로 한자 외우기는 여러분의 몫이다! ㅎㅎ
다음 시간부터는
중국어 학습에서
가장 중요한
발음 부분을 다뤄볼 생각이다.
중국어 기초 ⑥ [중국어의 발음 : 성조 Part 1(개념+실습)] (0) | 2020.04.03 |
---|---|
중국어 기초 ⑤ [중국어의 발음 : 운모 Part 1(개념)] (0) | 2020.04.03 |
중국어 기초 ④ [중국어의 발음 : 성모 Part 1(개념)] (0) | 2020.04.03 |
중국어 기초 ② [한자 쉽게 공부하는 법(육서)] (443) | 2020.04.03 |
중국어 기초 ① [한어, 한자(간체자)] (0) | 2020.04.03 |